연금저축과 IRP를 활용한 절세 전략, 2025년 필수 재테크 가이드

연금저축·IRP 계좌는 세액공제와 복리 효과로 노후 준비와 절세 전략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2025년 연말정산 대비 재테크 전략을 자세히 살펴봅니다.

절세 전략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를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고민하는 부분은 “세금을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라는 점입니다. 단순히 월급을 저축하는 것만으로는 세금 부담을 줄이기 어렵기 때문에, 합법적으로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가운데 가장 강력한 수단이 바로 연금저축과 개인형퇴직연금(IRP)입니다. 이 두 계좌는 정부가 장기적인 노후 준비 및 절세 전략를 장려하기 위해 만든 제도로,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면서 장기 투자까지 가능하게 만들어 줍니다.

기본 구조

절세 전략을 위한 연금저축과 IRP의 기본 구조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연금저축은 연간 400만 원까지 납입 금액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IRP는 퇴직연금을 관리하는 계좌지만 개인이 추가로 납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간 300만 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즉, 두 계좌를 합치면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세액공제율은 소득 수준에 따라 13.2% 또는 16.5%가 적용되며, 이를 통해 최대 115만 원 이상의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단순히 저축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직장인과 자영업자 모두에게 매력적인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연봉 5천만 원인 직장인이 연금저축 400만 원과 IRP 300만 원을 모두 납입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경우 최대 700만 원에 대해 16.5%의 세액공제를 받는다면 약 115만 원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저축을 했을 뿐인데, 1년에 100만 원이 넘는 현금 환급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은 매우 큰 장점입니다. 특히 연말정산에서 세금 폭탄을 맞는 경우가 많은 고소득 직장인들에게는 반드시 챙겨야 할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절세 전략

과세이연

세액공제 혜택 외에도 중요한 부분은 과세이연입니다. 일반 주식 계좌에서 ETF를 매매하면 매번 배당소득세나 양도세가 부과됩니다. 하지만 연금저축과 IRP 계좌 내에서 운용되는 수익은 중도에 과세되지 않고, 연금을 수령할 때 분리과세로 처리됩니다. 즉, 수익이 불어나는 동안에는 세금이 붙지 않아 복리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장기 투자일수록 이 차이는 크게 벌어지는데, 10년, 20년이 지나면 단순한 절세 이상의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또한 연금저축과 IRP는 단순한 저축 계좌가 아니라, 투자 상품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습니다. 예금, 채권, 펀드, ETF 등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S&P500 ETF와 같은 글로벌 지수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 주식 시장은 장기적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 왔기 때문에, 연금 계좌를 활용한 글로벌 분산 투자는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실제로 매달 50만 원씩 20년간 연금저축에 투자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총 납입 원금은 1억 2천만 원이 됩니다. 만약 연평균 7%의 수익률을 달성한다면, 세액공제 혜택까지 합쳐 2억 원 이상으로 자산을 불릴 수 있습니다. 여기에 세금을 나중으로 미루는 과세이연 효과가 더해지면 같은 원금을 다른 계좌에 투자했을 때보다 훨씬 더 큰 차이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다만 주의할 점도 있습니다. 가장 큰 리스크는 중도 해지 시 불이익입니다. 연금저축과 IRP는 원칙적으로 55세 이후에 연금 형태로 수령해야 합니다. 만약 중도에 해지하거나 인출하게 되면, 그동안 세액공제 혜택을 받았던 금액과 운용 수익에 대해 기타소득세 16.5%가 부과됩니다. 따라서 단기 자금이 필요한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반드시 장기적인 노후 준비 자금으로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 하나 주의할 점은 수령 방식입니다. 연금을 받을 때는 연금소득세가 부과되는데, 이는 일반 종합소득세보다 낮은 세율로 적용됩니다. 55세 이상부터는 3.3~5.5%의 세율이 적용되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세율은 더 낮아집니다. 즉, 오래 유지할수록 세금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에, 가능한 한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절세 전략
사진: UnsplashDiane Helentjaris

운용 전략을 세울 때는 본인의 나이와 투자 성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젊은 층이라면 공격적으로 주식형 ETF 비중을 높이고, 나이가 들수록 채권이나 안정적인 상품의 비중을 늘리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또한 IRP 계좌의 경우 퇴직금 관리와도 연결되므로, 퇴직 시점에 따라 운용 전략을 달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연금저축과 IRP는 직장인뿐 아니라 프리랜서와 자영업자에게도 절세 전략은 유용합니다. 소득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납입만 하면 절세 전략을 통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매년 안정적으로 절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특히 프리랜서의 경우 4대 보험 혜택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연금 계좌를 통해 노후 대비를 스스로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사진: UnsplashIgor Omilaev

결국 연금저축과 IRP는 단순히 세금을 줄이는 수단을 넘어, 절세 전략을 통해 장기적인 자산 증식과 노후 대비를 동시에 해결해 주는 만능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매달 일정 금액을 꾸준히 납입하는 습관을 들이면, 연말정산에서절세 전략의 만족감과 더불어 10년, 20년 뒤 훨씬 여유 있는 삶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은 작아 보이는 선택일지라도, 미래에는 그 차이가 압도적으로 커질 것입니다.

2025년을 맞아 절세 전략을 다시 점검하는 시점이라면, 연금저축과 IRP 계좌를 반드시 고려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단순히 세금을 아끼는 차원을 넘어, 내 삶 전체의 재무 안전망을 구축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자산 1억 만들기 글도 읽어보세요.

부수입

민생지원금 배민 사용글도 읽어보시고요.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